맨위로가기

아베 요시시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베 요시시게는 일본의 철학자, 교육자, 문부대신으로, 1909년에 도쿄 제국대학을 졸업하고, 릿쇼 대학, 게이오기주쿠 대학, 호세이 대학 등에서 강사 및 교수를 역임했다. 1924년부터 2년간 유럽 유학 후 경성제국대학 교수로 부임하여 조선의 문화와 문학을 연구했으며, 제일고등학교 교장, 귀족원 의원, 시데하라 내각의 문부대신을 지냈다. 그는 교육기본법 초안 작성과 현대 가나 사용 지침 마련에 기여했으며, 가쿠슈인 원장과 가쿠슈인 대학 학장을 역임했다. 저서로는 《이와나미 시게오전》 등이 있으며, 1964년 보관욱일장 대훈장을 수여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히메현립 마쓰야마 히가시 고등학교 동문 - 아키야마 사네유키
    아키야마 사네유키는 러일 전쟁에서 뛰어난 전략으로 일본의 승리에 기여했으며, 해군병학교 수석 졸업 후 미국 유학을 통해 해양 전략을 연구하고 연합함대 참모로서 뤼순항 봉쇄 작전과 쓰시마 해전에서 공을 세운 일본 제국 해군의 군인이다.
  • 에히메현립 마쓰야마 히가시 고등학교 동문 - 오에 겐자부로
    일본의 소설가이자 에세이스트인 오에 겐자부로는 장애를 가진 아들의 탄생을 계기로 개인적 고뇌와 사회적·정치적 문제를 결합한 작품들을 발표하며 세계적인 작가로 성장, 1994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고 평화주의 및 반핵 운동에도 참여했다.
  • 릿쇼 대학 교수 - 박일 (교수)
    박일 교수는 오사카 시립 대학 명예 교수로서, 북한 정책, 독도 문제, 재일 한국인 관련 인식 등 다양한 사회적, 정치적 현안에 대해 발언하며 논란을 빚었으며,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에 비판적인 입장을 보이고 재일 외국인 참정권 부여와 재일 한국인의 이중 국적 인정 등을 주장했다.
  • 릿쇼 대학 교수 - 아이카와 테쯔가이
    아이카와 테쯔가이는 1980년대부터 독창적인 서예 스타일을 구축하고, 도쿄 학예 대학과 릿쇼 대학에서 후학을 양성하며, 마이니치 서도전 심사위원을 역임하는 등 서예가이자 교육자로 활발하게 활동한 인물이다.
아베 요시시게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아베 요시시게
1956년경 촬영
본명아베 요시시게
출생일1883년 12월 23일
출생지마쓰야마시, 에히메현, 일본
사망일1966년 6월 7일
사망지도쿄도 분쿄구
안장 장소도케이 사, 가마쿠라시, 일본
국적일본
수상요미우리 문학상 (1958년)
직업교육자, 정치가, 각료
로마자 표기Abe Yoshishige
철학자 정보
학파자연주의 (철학)
연구 분야칸트 철학
대표 개념대일 강화 조약 체결의 전면 강화론
영향 받은 인물나쓰메 소세키
하타노 세이이치
다카하마 교시
루돌프 오이켄
출신 학교도쿄 제국대학 문과대학 철학과
배우자후지무라 교코 (후지무라 미사오의 여동생)
기타

2. 생애

아베 요시시게는 1909년 도쿄 제국대학 문과대학 철학과를 졸업하고 대학원에 진학했다. 1913년 릿쇼 대학 강사, 1916년 게이오기주쿠 대학 예과 독일어 교사를 거쳐 1920년 호세이 대학 교수가 되었다. 1924년부터 1926년까지 유럽 유학을 떠나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서 칸트 철학을 연구했다.[1]

1926년 경성제국대학 교수로 부임하여 철학·철학사 제1강좌를 담당했고, 1928년 법문학부장이 되었다. 일제강점기 한국의 한국 문화와 한국 문학에 관심을 가졌으며, 일본인의 조선 멸시 감정을 경계했다.

1940년 제일고등학교 교장이 되었다. 그는 징집자 수를 늘리기 위한 군 당국의 교육 과정 단축 계획과 고노에 후미마로 수상의 일당 독재 국가 건설 노력을 공개적으로 비판하며 군 당국과 충돌했다. 특고의 괴롭힘을 받았지만, 체포되지는 않았다.[1]

1945년 일본의 항복 후, 귀족원 의원으로 임명되었고, 1946년 시데하라 기주로 내각에서 문부대신을 역임하며 전후 일본 교육 제도 개혁을 감독했다. 교육기본법 초안 작성과 당용한자 및 현대 가나 사용 지침을 마련하는 데 기여했다.[1]

1946년 가쿠슈인 원장을, 1949년 가쿠슈인 대학 학장을 겸임했다. 그는 반전 운동을 지지했지만, 전후 사회주의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입장을 유지했다.[1]

1958년 이와나미 시게오의 전기를 써서 요미우리 문학상을 받았고, 1964년 보관욱일장 대훈장을 수여받았다. 1966년 도쿄에서 사망했으며, 그의 묘는 가나가와현 가마쿠라의 도케이지에 있다.[1]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아베 요시시게는 1883년 12월 3일 의사였던 아버지 아베 이치오와 어머니 품(品) 사이에서 여덟째 아들로 에히메현 마쓰야마시에서 태어났다. 마쓰야마 중학교(지금의 에히메현립 마쓰야마 동 고등학교)[5]를 거쳐 제일고등학교[6]에 진학한 뒤, 도쿄제국대학 문과대학에 진학했다. 그러나 집안 형편이 어려워 중학교 졸업 후 1년간 모교에서 영어 조교수(講師)로 일했기 때문에 제일고등학교에는 1902년에 진학했다.[7]

도쿄제국대학 재학 시절 철학과 동기생으로 이토 요시노스케, 고야마 토모에, 미야모토 와키치 등이 있었다. 동창 중에는 후지무라 미사오가 있었는데, 1912년 그의 여동생 쿄코와 결혼했다.[7] 일고를 중퇴한 동기 이와나미 시게오와는 평생 교류했으며, 훗날 이와나미 쇼텐의 경영에 "철학총서" 편집자로 참여했고,[8] 이와나미 사후에는 그의 공식 전기를 집필하기도 했다.

나쓰메 소세키, 하다노 세이이치, 타카하마 쿄시에게서 영향을 받았다. 1906년 도쿄제국대학 1학년 때 친구와 함께 나쓰메 소세키를 방문한 이후 그를 깊이 존경하며 가르침을 받았다. 호토토기스 등에 문예평론을 발표했고, 1911년에는 아베 지로 등 4명과 함께 「그림자와 소리」를 펴냈다.[2] 고미야 토요타카, 모리타 소헤이, 아베 지로(스즈키 미에키치라는 설도 있음)와 함께 "소세키 문하의 사천왕"으로 불렸다. 스즈키 미에키치나 테라다 토라히코와의 만남도 소세키를 통해 이루어졌다. 소세키가 슈젠지에서 큰 병(1910년)에 걸렸을 때, 아베 등이 달려가자 "안베가 좋아질 거야"라고 말한 일화가 전해진다.

2. 2. 학문적 경력

1909년 도쿄 제국대학 문과대학 철학과를 졸업하고 대학원에 진학했다.[9] 아사히신문에 자연주의 문학 비판의 문예 평론을 발표하는 한편,[10] 1913년 「나의 세계」를 출간한 이후로는 철학으로 활동 무대를 옮겨, 「서양 고대 중세 철학사」, 「서양 근세 철학사」, 「칸트의 실천 철학」 등을 발표했다.[2] 특히 아베는 루돌프 오이켄의 사상을 일본에 소개했고, 이 사상은 다이쇼기의 관념론 사조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10]

이 기간 동안 1913년 4월 니치렌슈 대학 강사, 1916년 4월 게이오기주쿠 대학 예과 독일어 교사를 역임하였다. 1920년 4월 호세이 대학 교수에 취임했다.[2][10] 1924년부터 1926년까지 유럽으로 유학을 떠났으며, 하이델베르크에서 칸트 철학을 연구했다.[1][2][10]

1926년 3월 경성제국대학 교수로 부임하여[12] 철학·철학사 제1강좌를 담당했다. 일제강점기 한국의 조선의 문화를 상세히 검토하고, 일본인의 조선 멸시 감정을 경계했다. 1928년 9월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장을 맡았다.

1940년 9월 모교인 제일고등학교 교장이 되어[13] 명교장으로 불렸다.[14]

2. 3. 경성제국대학 교수 시절과 조선 문화 연구

1926년 경성제국대학 교수로 부임하여 일제강점기 한국의 한국 문화와 한국 문학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1928년 9월에는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장이 되었다.[1] 그는 1929년 중국을 여행하여 지난, 곡부를 방문하고 태산에 올랐으며, 산둥성 전역에 걸쳐 강력한 일본 상업적 존재감을 확인했다. 또한 만주를 방문하여 하얼빈에서 증가하는 중국인의 존재를 확인했다.[1]

2. 4. 제일고등학교 교장 시절과 군부와의 갈등

아베는 1940년 일본 본토로 돌아와 모교인 제일고등학교 교장으로 부임했다. 그러나 그는 징집자 수를 늘리기 위해 학교 교육 과정을 단축하려는 군 당국의 계획과, 고노에 후미마로 수상의 일당 독재 국가 건설 노력을 공개적으로 비판하면서 군 당국과 충돌했다.[1] 비록 때때로 특고의 괴롭힘을 받았지만 체포되지는 않았다.[1]

2. 5. 전후 활동과 교육 개혁

1945년 일본 항복 후, 아베는 12월 일본 국회 귀족원 의원으로 임명되었고, 1946년 1월부터 5월까지 시데하라 기주로 내각에서 문부대신을 역임하며 전후 일본 교육 제도 개혁을 감독했다.[1] 그는 교육기본법 초안 작성과 현재의 흔히 쓰는 한자(당용한자) 및 현대 가나 사용 지침을 마련하는 데 기여했다.[1] 문부대신 재임 당시, 아베는 일본이 소련이 아닌 미국에 점령된 것이 다행이라고 말했다.[1]

1946년 10월부터 1966년 사망할 때까지 가쿠슈인 원장을 역임했다.[1] 1949년 4월부터 1963년 3월까지는 가쿠슈인 대학 학장을 겸임했다.

아베는 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 초반 반전 운동을 지지했지만, 전전 군국주의만큼 위험하다고 여긴 전후 사회주의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입장을 유지했다.[1]

2. 6. 평화 운동과 자유주의적 입장

아베는 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 초반 반전 운동을 강력히 지지했지만, 전전 군국주의만큼 위험하다고 여긴 전후 사회주의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입장을 유지했다.[1] 이와나미 시게오가 설립한 이와나미 쇼텐에서 발행한 『세계』 창간 당시 대표 책임자가 되었고, 1951년(쇼와 26년)에 결성된 평화문제담화회에 발기인으로 참가하여 대표를 역임했다.[8] 전전·전후를 통해 일관된 자유주의자였으며, 전전의 군국주의에 대한 비판뿐만 아니라 전후 사회주의에 대한 과도한 평가에도 비판적인 태도를 취했다. 태평양 전쟁 이후 평화 조약 체결 문제에서는 전면 강화론과 중립주의를 주장하여 여론에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8]

2. 7. 만년과 죽음

아베는 이와나미 시게오의 전기를 써서 1958년 요미우리 문학상을 받았다. 1964년에는 보관욱일장 대훈장을 수여받았다.[1]

아베는 1966년 도쿄에서 사망했지만, 그의 묘는 가나가와현 가마쿠라의 도케이지에 있다.

3. 사상과 업적

아베 요시시게는 문예 비평, 철학, 교육 개혁, 조선 문화 연구, 저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1920년부터 호세이대학 교수로 재직했으며, 1924년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서 칸트 철학을 연구했다.[1] 1926년 경성제국대학 교수로 부임하여 일제강점기 한국의 문화와 문학에 관심을 가졌다.[1] 1929년에는 중국 산둥성의 지난, 곡부를 방문하고 태산에 올랐으며, 만주 하얼빈을 방문했다.[1]

1940년 일본 본토로 돌아와 모교로 돌아왔으나, 고노에 후미마로 수상의 일당 독재 국가 건설 노력을 공개적으로 비판하면서 군 당국과 충돌했다.[1] 일본의 패전1945년 일본 국회 귀족원 의원을 거쳐 1946년 시데하라 기주로 내각에서 문부대신을 역임했다.[1] 같은 해 가쿠슈인 교장을 맡아 1966년 사망할 때까지 재직했다.[1]

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 초반 반전 운동을 지지했지만, 전후 사회주의에 대해서는 비판적이었다.[1] 1958년 이와나미 시게오의 전기를 써서 요미우리 문학상을 수상했고,[1] 1964년에는 보관욱일장 대훈장을 받았다.[1] 1966년 도쿄에서 사망 후 가나가와현 가마쿠라의 도케이지 절에 묘소가 있다.[1]

3. 1. 철학 사상

1909년(메이지 42년) 도쿄대학 문과대학 철학과를 졸업[9]하고 아사히신문에 자연주의 문학 비판 관련 문예 평론을 발표했다.[10] 1913년(다이쇼 2년) 「나의 세계」를 출간한 후 철학으로 활동 무대를 옮겨, 「서양 고대 중세 철학사」, 「서양 근세 철학사」, 「칸트의 실천 철학」 등을 발표했다.[2] 특히 아베는 루돌프 오이켄의 사상을 일본에 소개했는데, 이 사상은 다이쇼기 관념론 사조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10] 1926년(다이쇼 15년) 경성제국대학 교수가 되어[12] 철학·철학사 제1강좌를 담당했다. 그는 조선의 문화를 상세히 검토하고, 일본인의 조선 멸시 감정을 경계했다.

3. 2. 교육 개혁

아베 요시시게는 시데하라 기주로 내각에서 1946년 1월부터 3월까지 문부대신을 역임하며 전후 일본 교육 제도 개혁을 감독했다.[1] 그는 교육기본법 초안 작성과 현재의 흔히 쓰는 한자 및 현대 가나 사용 지침을 마련하는 데 기여했다.[1] 문부대신으로서 그는 일본이 소련이 아닌 미국에 점령된 것이 다행이라고 말하기도 했다.[1]

3. 3. 조선 문화 연구

아베 요시시게는 1926년 경성제국대학에 부임하여 일제강점기 한국의 문화와 문학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1]

3. 4. 저술 활동

아베 요시시게 저술 목록
출판 연도제목출판사비고
1913년『나의 세계』(予の世界)동아당서방(東亜堂書房)
1914년『무어휘』(無用語)일월사(日月社)
1916년『서양 고대 중세 철학사』(西洋古代中世哲学史)이와나미 서점
1917년『서양 근세 철학사』(西洋近世哲学史)이와나미 서점
1924년칸트의 실천철학』(カントの実践哲学)이와나미 서점
1924년『사상과 문화』(思想と文化)고양사(高陽社)
1924년『산중잡기』(山中雑記)이와나미 서점
1932년『청구잡기』(青丘雑記)이와나미 서점
1933년『그리스와 스칸디나비아』(ギリシヤとスカンデイナヰヤ)고산서점(小山書店)
1934년『정야집』(静夜集)이와나미 서점
1935년『스피노자 윤리학』(スピノザ 倫理学)이와나미 서점
1936년『초야집』(草野集)이와나미 서점
1937년『맹자・순자(荀子)』이와나미 서점
1938년『조모초』(朝暮抄)이와나미 서점
1940년『청년과 교양』(青年と教養)이와나미 서점
1941년『시대와 문화』(時代と文化)이와나미 서점
1942년『자연・인간・서적』(自然・人間・書物)이와나미 서점
1943년『항진초』(巷塵抄)고산서점(小山書店)
1944년『서유초』(西遊抄)고산서점(小山書店)
1946년『전중전후』(戦中戦後)백일서원(白日書院)
1947년『근역초』(槿域抄)사이토서점(斎藤書店)
1948년『일 일본인으로서』(一日本人として)백일서원(白日書院)
1948년『서양 도덕사상사』(西洋道徳思想史)각가와 서점
1948년『능악잡총』(能楽雑叢)사이토서점(斎藤書店)
1949년『문화・사상・철학』(文化・思想・哲学)경초서방
1949년『나의 발자취』(私の歩み)요서방(要書房)
1948년-1949년아베 요시나리 전집(安倍能成選集)(전5권)고산서점(小山書店)
1951년『평화에 대한 소망』(平和への念願)이와나미 서점
1953년『한 자유주의자의 말』(一リベラリストの言葉)경초서방
1957년『이와나미 시게오전』(岩波茂雄傳)이와나미 서점요미우리 문학상 수상
1959년『전후의 자서전』(戦後の自叙傳)신초사
1959년『현대지성전집(1) 아베 요시나리집』(現代知性全集(1) 安倍能成集)일본서방(日本書房)
1966년『인생을 어떻게 살 것인가』(人生をどう生きるか)고단샤 현대신서
1966년『나의 태어남 자서전』(我が生ひ立ち 自叙傳)이와나미 서점[26]
1968년『점점이 모아진 글』(涓涓集)이와나미 서점


4. 평가

(요약과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아, '평가' 섹션에 대한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5. 수상 및 서훈

수상서훈


6. 저서

제목출판사출판 연도비고
나의 세계 (予の世界일본어)동아당서방1913년
무어휘 (無用語일본어)일월사1914년
서양 고대 중세 철학사 (西洋古代中世哲学史일본어)이와나미 서점1916년, 1949년철학총서 5
서양 근세 철학사 (西洋近世哲学史일본어)이와나미 서점1917년, 1948년철학총서 10
칸트의 실천철학 (カントの実践哲学일본어)이와나미 서점, 경초서방1924년, 1949년, 1979년 (신판)
사상과 문화 (思想と文化일본어)고양사1924년
산중잡기 (山中雑記일본어)이와나미 서점1924년
청구잡기 (青丘雑記일본어)이와나미 서점1932년
그리스와 스칸디나비아 (ギリシヤとスカンデイナヰヤ일본어)고산서점1933년
정야집 (静夜集일본어)이와나미 서점1934년
스피노자 윤리학 (スピノザ 倫理学일본어)이와나미 서점1935년, 1985년 (복간)대사상문고 10
초야집 (草野集일본어)이와나미 서점1936년
맹자순자이와나미 서점1937년, 1984년 (복간)대교육가문고 2
조모초 (朝暮抄일본어)이와나미 서점1938년
청년과 교양 (青年と教養일본어)이와나미 서점1940년
시대와 문화 (時代と文化일본어)이와나미 서점1941년
자연・인간・서적 (自然・人間・書物일본어)이와나미 서점1942년
항진초 (巷塵抄일본어)고산서점1943년
서유초 (西遊抄일본어)고산서점1944년
전중전후 (戦中戦後일본어)백일서원1946년
근역초 (槿域抄일본어)사이토서점1947년
일 일본인으로서 (一日本人として일본어)백일서원1948년
서양 도덕사상사 (西洋道徳思想史일본어)각가와 서점1948년각가와 전서
능악잡총 (能楽雑叢일본어)사이토서점1948년
문화・사상・철학 (文化・思想・哲学일본어)경초서방1949년
나의 발자취 (私の歩み일본어)요서방1949년
아베 요시나리 전집 (安倍能成選集일본어) (전5권)고산서점, 일본도서센터 (복각판)1948-49년, 1997년 (복각판)
평화에 대한 소망 (平和への念願일본어)이와나미 서점1951년
한 자유주의자의 말 (一リベラリストの言葉일본어)경초서방1953년
이와나미 시게오 전 (岩波茂雄傳일본어)이와나미 서점1957년, 1993년 외, 2012년 (신장판), 2023년 (이와나미 문고)
전후의 자서전 (戦後の自叙傳일본어)신초사, 일본도서센터1959년, 1966년 (재판), 2003년인간의 기록 149[25]
현대지성전집 (1) 아베 요시나리집 (現代知性全集(1) 安倍能成集일본어)일본서방1959년, 1965년 (신판)
인생을 어떻게 살 것인가 (人生をどう生きるか일본어)고단샤 현대신서1966년
나의 생애 (我が生ひたち일본어)이와나미 서점1966년[26]
점점이 모아진 글 (涓涓集일본어)이와나미 서점1968년, 1983년 (복간)


7. 가족 관계

관계이름설명
아버지아베 요시토모(安倍義任)의사. 히로시마현 미조군 나가에정(현 오노미치시) 출신으로, 후지이 요리미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아오키 슈키 등에게 의학을 배웠고, 에히메현 마쓰야마시의 의사 아베 마사토시의 제자가 된 후 그의 사위가 되었다. 마사토시는 마쓰야마에서 처음으로 종두를 실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마사토시의 딸 긴과 사이에 5명의 자녀를 두었으나, 긴이 요절하여 노나리의 어머니가 되는 시나와 재혼하였다.[23]
어머니아베 시나(阿部品)마쓰야마번사 츠츠미 가타기의 딸. 요시토모의 후처. 1876년 결혼(시나도 재혼).[24]
동생아베 하카루(安倍恕)판사, 사법연수원 원장 등을 역임. 판사 출신 변호사 아베 하루히코는 하카루의 둘째 아들이다.
여동생아베 세츠코(阿部セツ子)미야모토 와키치의 아내.
조카코야마 히사지로(小山久二郎)코야마 서점 주인. 채터리 재판에서 피고인 중 한 명이었다.


참조

[1] 서적 The Literature of travel in the Japanese Rediscovery of China 1862-1945 Stanford University Press
[2] 백과사전 20世紀日本人名事典 日外アソシエーツ 2004
[3] 백과사전 百科事典マイペディア 平凡社
[4] 서적 コンサイス日本人名辞典 第5版 株式会社三省堂
[5] 간행물 愛媛県立松山中学校一覧 明治43年9月 https://dl.ndl.go.jp[...] 愛媛県立松山中学校
[6] 간행물 第一高等学校一覧 自明治39年至明治40年 https://dl.ndl.go.jp[...] 第一高等学校
[7] 웹사이트 夏目漱石、自殺した教え子の妹の結婚披露宴に出席する。【日めくり漱石/12月22日】 https://serai.jp/hob[...] 小学館 2016-12-22
[8] 백과사전 美術人名辞典 思文閣出版
[9] 간행물 『官報』第7814号 https://dl.ndl.go.jp[...] 1910-07-13
[10] 백과사전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 Britannica Japan 2014
[11] 웹사이트 宮本和吉―誠実で生真面目な哲学者 https://100nenshi.mu[...]
[12] 간행물 京城帝国大学一覧 昭和16年 https://dl.ndl.go.jp[...] 京城帝国大学
[13] 간행물 第一高等学校一覧 自昭和16年至昭和17年 https://dl.ndl.go.jp[...] 第一高等学校
[14] 백과사전 日本大百科全書 小学館
[15] 서적 貴族院要覧(丙) 貴族院事務局
[16] 서적 議会制度百年史 - 貴族院・参議院議員名鑑 大蔵省印刷局
[17] 간행물 『官報』号外 https://dl.ndl.go.jp[...] 1946-05-22
[18] 백과사전 世界大百科事典 平凡社
[19] 서적 作家の臨終・墓碑事典 東京堂出版
[20] 웹사이트 安倍能成墓 http://www.tokeiji.c[...] 東慶寺
[21] 간행물 『官報』第837号 1929-10-12
[22] 간행물 『官報』第5654号 1945-11-15
[23] 서적 我が生ひ立ち : 自叙伝 https://dl.ndl.go.jp[...] 岩波書店
[24] 서적 我が生ひ立ち : 自叙伝
[25] 서적 現代かな表記での新版再刊
[26] 서적 1960年前後に、月刊「心」に連載。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